카켄 파마슈티컬스와 STAT6 온라인 슬롯 관련 라이선스 딜 체결
J&J는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 권리 확보...카켄은 지분투자 받아

chatGPT 생성 이미지 / 사진=심예슬 기자
chatGPT 생성 이미지 / 사진=심예슬 기자

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J&J)이기존의 인터루킨(IL) 경로를 직접 차단하는 생물학적 제제를 넘어, STAT6 온라인 슬롯기전에 주목하며 경구용 치료제 개발에 시선을 돌렸다. 아토피피부염(AD)과 자가면역·알레르기 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또 한 번 혁신을 꾀하는 모습이다.

J&J는 카켄 파마슈티컬스(Kaken Phamarceuticals)와 경구용 STAT6 온라인 슬롯에 대한 라이선스 딜을 체결했다고 27일(미국 현지시각) 발표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J&J는 STAT6 프로그램의 주요 후보 물질인 'KP-723'의 글로벌 개발, 제조, 상업화 권리를 확보하게 됐으며, 카켄은 일본 내 상업화 권리를 유지한다. 또 J&J는 일본 내 공동 프로모션 옵션을 진행하며, 카켄은 J&J의 벤처캐피털 부문으로부터 추가적인 지분 투자를 받을 예정이다.

J&J의 면역 치료제 개발 행보는 꾸준했다. 이보다 앞선 5월에는, IL-13 및 IL-22를 타깃으로 한 이중항체 치료제 'PX128'과 'PX130'을 보유한 생명공학기업 프로테오로직스(Proteologix)를 약 8억5000만달러(약 1조1500억원)에 인수했다. 이어 2주 후, 누맙 테라퓨틱스(Numab Therapeutics)와계약을 통해 임상 단계에 있는 IL-4Rα-IL-31 이중항체 'NM26'의 글로벌 권리를 확보하며, IL-경로 타깃 생물학적 온라인 슬롯의 라인업을 확장한 바 있다.

아토피피부염,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등은 Th2 매개 염증 질환으로 분류된다. 이들 질환은 Th2 세포(2형 T 보조 세포)의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인해 발생한다. Th2 세포는 IL-4, IL-5, IL-13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해염증 반응을 증폭시킨다. 이러한 사이토카인들은 면역 체계를 과도하게 활성화해피부 장벽 손상, 점막 염증, 기도 협착 등 다양한 병리적 결과를 초래한다.

STAT6는 IL-4, IL-13의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주요 전사 인자로, Th2 매재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STAT6 온라인 슬롯는 이러한 염증 경로를 정밀하게 타깃할 수 있는 치료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STAT6 온라인 슬롯가전임상 연구에서 IL-4 및 IL-13 신호 전달 억제와 Th2 염증 반응 억제에 효능를 보였다는 결과도발표된 바 있다₁.

J&J가 베팅한 KP-723의 가장 큰 강점 중 하나는 경구 제형이라는 점이다. 해당 적응증에 대한 대표적 치료제인 사노피의 '듀피젠트(DUPIXENT·dupilumab)'는 IL-4Rα를 차단해IL-4 및 IL-13의 신호 전달을 온라인 슬롯하는 생물학적 제제로아토피피부염과 천식 치료에 높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듀피젠트는 주사 제형으로 병원 방문 필요성 또는 니들 공포증 등으로 환자들이 치료를 지속하는 불편함을 겪는단점이 있다.

이미 경구제로시판되는 약물에는 JAK 온라인 슬롯인 애브비의 '린버크(RINVOQ·upadacitinib)'와 릴리의 '올루미언트(OLUMIANT·baricitinib)' 등이 있다. 이들은 빠른 작용과 복약 편의성을제공하지만, JAK 온라인 슬롯들은 대부분 개발 초기 단계에서 부작용 문제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₂.

STAT6는 JAK-STAT 경로의 하위에서 IL-4 및 IL-13 신호에 선택적으로 관여해, JAK 온라인 슬롯보다 더 정교한 면역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과도한 면역 억제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도 Th2 경로를 중심으로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가능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기전적인 매력 때문에 듀피젠트를 공동 개발했던 사노피또한 경구용 STAT6 온라인 슬롯를 개발하기 위해 작년 레클루딕스(Recludix Pharma)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참고문헌

1.Li X, Han Z, Wang F, Qiao J. The STAT6 inhibitor AS1517499 reduces the risk of asthma in mice with 2,4-dinitrochlorobenzene-induced atopic dermatitis by blocking the STAT6 signaling pathway. Allergy Asthma Clin Immunol. 2022 Feb 17;18(1):12.
2.Xue, C., Yao, Q., Gu, X.et al.Evolving cognition of the JAK-STAT signaling pathway: autoimmune disorders and cancer.Sig Transduct Target Ther8, 204 (2023).

관련온라인 슬롯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