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HIT | '슬롯사이트는 더러운 영업'이라 말씀하시는 어느 분께

슬롯사이트

개인적으로폰트를 좋아한다. '고작 글자체가지고 무슨' 이라는 말을 들을 법하지만 폰트가 가지는 가독성과 단아한 모습에서즐거움을 얻는다. 폰트 하나가 실제 슬롯사이트와 표를 읽는 시간은 물론 이해도까지 높일 수 있다는 디자인업계의 많은연구 결과에서'글자 덕후가 꽤 많다'는 점을 유추해 본다.미국에서 공부를 한 제약바이오 종사자들은아래 왼쪽폰트가 익숙할지 모른다.미국 대학교와 대학원에서 과제를 제출할때 통상적으로 쓰는'타임즈 뉴 로만'이라는 폰트다.

왼쪽부터 타임즈 뉴 로만과 캘리브리 슬롯사이트. 별달리 보일 것이 없는 슬롯사이트가 미국 정부를 흔들었다.
왼쪽부터 타임즈 뉴 로만과 캘리브리 슬롯사이트. 별달리 보일 것이 없는 슬롯사이트가 미국 정부를 흔들었다.

타임즈 뉴 로만 슬롯사이트가2023년 미국 정부를 발칵 뒤집어 놓은 적이 있다. 미국 국무부가 재외공관을 비롯한 산하조직이 쓰는 슬롯사이트를 타임즈 뉴 로만에서 우측의 '캘리브리' 슬롯사이트로 바꾸도록 지시하면서부터다.

우리 나라도 그렇지만 정부 문서에는 서체부터 간격, 글자의 크기까지 규격에 맞춰져 있다. 그러나 국무부가 새 슬롯사이트를 적용하면서 정부 부처 사이에서는 난리가 났다. 당시 미 국무부 측은 슬롯사이트의 끝부분 내 꺾어지는 조형적 요소(세리프)가 저교육층과 시각장애인 등에게 난독을 끼칠 수 있다는 지적에 따라 서체를 바꿨다. 실제 글자를 읽을 때 세리프가 없는 경우 더욱 명확하게 글을 읽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다.

당시 외신보도를 보면 세리프가 없는 캘리브리는 국무부 직원은 물론 정부 안에서도 '슬롯사이트모독'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세리프가 있는 글자는 품위와 고급스러움을 갖추고 있는데 '세리프도 없는 이상한 글자'가 공식체로 지정된 이상 문서의 고급스러운 가치가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였다.

최근 CSO를 도입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영업 순혈주의자에게서CSO를 향한 거친 비난'을 들었을 때 슬롯사이트 이야기가 떠올랐다.바깥에서 보면 누가 영업을 하든 무엇이중요하냐고 말할 테지만 업계 안에서는CSO 도입에 반감을 갖는 현상이 존재한다.

매출 기준 상위사들이하나둘씩 슬롯사이트 도입을 하는 시점에서'슬롯사이트는 영업을 더럽게 하니까'라는 편견 강한 비난은마치 '세리프도 없는 글자를 왜 써야 하냐'는 이들의 의견과 겹쳐보인다. 일부 납득이 간다.특정 제제의 엄청난 성장에 슬롯사이트의 과당 경쟁이 있었고, 그 과정이 정부의 감시를 통해 드러나는 사례도 꾸준했었다.

슬롯사이트

필요한 것은CSO 소속 영업사원이 '더럽게 영업하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견제 장치를 마련하고 판매에만 매몰돼 의약품의 가치를 소홀하지 못하도록 제약사를 계도하는 방향성이다. CSO를 부인하며 CSO를 이용해 매출을 끌어올린 업체들을 향해 '매출에만 환장했다'고 표현하는 것은 캘리브리의 시대에서 타임즈 뉴 로만 슬롯사이트를 들고 결재서류를 들고가는 것과 다르지 않다.

10여년 전 병원을 취재할 때마다 교수의 진료실 앞에서 땀을 흘려가며 '교수님 한 번 뵙기'를 그토록 기다리던 영업사원들이 있었다. 명함과인사를 건네며 기자와 이야기를 나눈 그들중 상당수는10여년이 지나슬롯사이트업계에서 활약하고 있다. 자신이 쌓아왔던 경험을 프리랜서개념으로 옮기는 일은 흔하다.

지난해 10월 본격 시행된슬롯사이트 신고제는 현재캘리브리 문서처럼 자잘한 진통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제약업계가슬롯사이트 제도와 관계자들을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지과제로남아있다. 슬롯사이트를 보는 시선도조금씩 바뀔 필요가 있지 않을까.

[속보] 대원제약 펠루비 특허소송, 영진약품 등 제네릭사